MT502 Missiological Hermeneutics Spring 2020 (Online)
Instructor: Keon-Sang An, PhD keonsangan@fuller.edu
• Goheen, Michael W. 열방에 빛을: 온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. 복 있는 사람. 2012.
• Nissen, Johannes. 신약 성경과 선교: 역사적 해석학적 관점들. 2002.
• Wright, Christopher J. H. 하나님의 선교: 하나님의 선교 관점으로 성경 내러티브를 열다. IVP. 2010.(DMin 추가 독서)
• 박보경. “선교적 해석학의 모색.” 선교 신학 18 집(2008): 76-103.
• 정승현. “선교의 성경연구 동향분석.” 미션 네트워크 1 집 (2012): 1-21.
• 강아람. “선교적 교회론과 선교적 해석학.” 선교신학 36 집(2014): 11-45.
• Bosch, David. 변화하고 있는 선교: 선교 신학의 패러다임 전환. 기독교문서선교회. 2010.
• Bosch, David. 세계를 향한 증거. 두란노. 1993.
• Glasser, Arther.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. 생명의말씀사. 2006.
• Guder, Darrell L. 선교적 교회: 북미 교회의 파송을 위한 비전. 주안대학원대학교 출판부.
2013.
• Kaiser, Walter. 구약성경과 선교: 이방의 빛 이스라엘. CLC. 2013.
• Larkin, William J. Jr., Jr., and Williams, Joel F. 성경의 선교신학 이레서원. 2001.
• Newbigin, Lesslie. 오픈 시크릿: 마침내 드러난 하나님의 비밀 선교. 2012.
• Van Engen, Charles. 미래의 선교신학. 2004.
• Wright, N. T. 마침내 드러난 하나님의 나라. IVP. 2009.
과제 및 평가 독서 보고(20%)
• 포함되어야 할 내용 o 글의 논지는 무엇인가? o 본인에게 의미 있는 핵심적인 주장 두 가지는 무엇인가? o 글의 논지와 주장에 대한 비평적 interaction o 배운 바와 구체적인 적용 점은 무엇인가?
• DMin 학생들은 마지막 10 주 차까지 Wright, Christopher J. H. 하나님의 선교.독서 보고서를 제출할 것
• 포함될 내용 o 강의와 독서에 나오는 내용을 포함할 것 o 성경 전체의 통합적 주제인 하나님의 선교와 본문이 갖는 관련성 o 본문에 나타나는 독특한 선교 패러다임 o 자신의 상황에 갖는 의미와 실천 방안
• 주제: 나의 선교적 해석학(창의적으로 제목을 정할 것)
• 포함되어야 할 내용 o 제 1 장: 선교에 대한 나의 정의 o 제 1 장: 내가 속한 선교적 공동체(교회, 선교단체, NGO, 비즈니스, 회사, 가족, 혹은 개인)의 특성: 공동체의 지리적 위치, 구성, 역사, 문화, 은사와 부르심, 선교적 지향점, 등등.
o 제 2 장: 선교적 상황: 데모그라피,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, 종교 상황, 복음의 관점에서 본 현실, 선교적 필요들, 등등. o 제 3 장: 공동체의 선교적 실천을 위한 성경의 가르침들:
§ 성경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고려할 것
§ 다양한 학자들의 이론을 참고하고 논의를 전개할 것 o 제 4 장: 나의 선교 공동체의 선교적 실천 방안 모색
NOTE: This ECD is a reliable guide to the course design but is subject to modification. Textbook prices are set by publishers and are subject to change. Copyright 20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.